[스크랩] 유용한 생활정보~ ♣ 유용한 生活의 智慧 ♣ 비 오는 날 사용하고 젖은 우산을 꼭지 부분이 바닥으로 향하도록 세워놓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우산을 거꾸로 세워놓으면 우산 꼭지에 물이 고여 우산살이 쉽게 부식되므로 손잡이가 아래로 향하게 세워두는 것이 좋다. 그리고 비가 그치면 쫙 펴서 물기를 완.. 낙서와 상식 2014.03.18
자녀키 *남자:부모평균키에 6.5cm+ *여자; 부모평균키에6.5cm- *부모중 한 사람이 영아기에 영양결핍, 결핵, 만성신부전, 같은 전신질환시 예외 *성장의 장애요인; 수면 영양결핍. 비만, 운동부족, 질병, 정신적 스트레스. *환경요인 충족시 원래키보다.+5~10cm *사춘기;남자-3.3년 동안 25~30cm 여자-3.3년 동안 15~20cm 낙서와 상식 2010.03.15
보험 전화-02,3702-8500 보험계약자, 피보험자, 보험수익자. 생존자보험 계약 조회 서비스 (신분증) www.knia.or.kr 손해 www.klia.or.kr 생명 본인이 아닐시;인감이 날인된위임장, 본인 신분증 가족관계등록부.->부모 , 자녀, 배우자, 법정대리인 의식 불명이나 혼수상태 불가능 낙서와 상식 2010.02.23
[스크랩] 저, 개명하고 싶어요. 이름때문에 주변 람들의 놀림감이 되었거나 사회활동에 있어 큰 불편함이나 부당함을 받지 않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자신의 이름에 만족하지 않아도 익숙함때문에 많이들 개명을 하지 않았었습니다. 그러다 2005년 갑자기 불어온 삼순이 신드롬과 함께 한 때 개명이 유행을 했습니다. 자신의 이.. 낙서와 상식 2009.07.21
[스크랩] ★나와 남의 차이★ ★나와 남의 차이★ 1. 몸가짐 남의 딸이 애인이 많으면 행실이 가벼워서이고, 내 딸이 애인이 많으면 인기가 좋아서이다. 2. 교육 남이 학교를 자주 찾는 것은 치맛바람 때문이고, 내가 학교를 자주 찾는 것은 높은 교육열 때문이다. 3. 며느라와 딸 며느리에게는 "시집을 왔으니 이집 풍속을 따라야 한.. 낙서와 상식 2009.06.10
[스크랩] 우리가 먹은 단백질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갈까? 우리가 먹은 단백질은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갈까? 잡곡밥 한 공기 퍼서 밥상에 올린다. 밥공기를 보다가 이웃들 보다 훨씬 크고 겉은 까맣고 속은 녹색인 검정콩이 듬성듬성 웃고 있는 것을 보니 단백질 생각이 난다.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 중에서 살아서 활동하는 부분을 원형질이라 하는데 그 원형질.. 낙서와 상식 2009.06.10
[스크랩] 아미노산 생합성 이야기 아미노산 생합성 이야기 식물은 광합성으로 탄수화물을 만들고 아미노산을 생합성 해요. 탄수화물이 만들어지거나 분해될 적에 카르복실기(-COOH)를 가진 여러 유기산이 만들어지지요. 어떻게 아미노산을 만드나 보아요. 세포호흡과 광합성으로 생긴 탈수소효소(NADH2)와 여러 유기산 그리고 뿌리에서 .. 낙서와 상식 2009.06.02
[스크랩] 1-1. 왜 밥(녹말)을 먹으면 기운 날까? 1-1. 왜 밥(녹말)을 먹으면 기운 날까? 다른 것을 아무리 먹어도 밥을 먹는 것 보다 기운이 덜 난다. 그래서 어른들은 곡기(穀氣)를 끊으면 죽는다고 하였다. 곡기(穀氣)란 곡식 속의 기운을 말한다. 곡식은 밥의 재료다. 곡식 중에서도 쌀은 열량이 높다. 칼로리가 높다는 말이고 에너지가 많이 들었다는 .. 낙서와 상식 2009.05.29
[스크랩] <기(氣)는 파장(波長)으로 움직인다> ★동형동기(同形同氣)란 <같은 모양은 같은 기(氣)를 가진다>는 뜻이다. 동형동기란 앞으로 나올 책이름이다. 그래서 글 몇 개만 소개하려고 한다. 그런데 부제목으로는 <생긴대로 논다>라고 붙이고 싶다. <기(氣)는 파장(波長)으로 움직인다> 요즘에는 파장을 이용한 제품들이 많다. 우리.. 낙서와 상식 2009.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