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스크랩] 뒷골과 어깨에 통증을 일으키는 근육 <승모근>

맑은 계곡 2006. 9. 24. 23:51

만성질환이라 불러도 무색하지 않은 어깨통증. 여기에 더해 뒷목까지 뻐근하고 쑤신다. 이러한 증상은 누구라도 한번쯤은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최근에는 어깨통증이나 뒷목 뻐근함이 그냥 지나치고 넘길 수 있는 증상이 아님을 인식하고 마사지나 운동으로 치료를 위해 노력한다. 이번 호에는 중요한 78개 골격근육의 근 근막 통증증후군과 그들의 기시(origin)와 정지(Insertion)에 대한 작용을 공부하려 한다. 이러한 원리는 웨이트 트레이닝이나 재활마사지를 하는 데 있어 중요한 기본 토대가 된다고 한다.


근육 승모근

쌍(pair)이 아닐 때는 삼각형 모양이고 한 쌍일 때는 다이아몬드 형의 근육이다.
승모근 목 부위의 천층(Superficial) 근육으로 머리나 목통증을 일으키는 기본근육이며, 가끔 머리나 얼굴 통증에 관련되어 통증유발점(TrP) 활동을 촉진시킨다.
승모근(Trapezius)은 흉쇄유돌근(SCM)과 같이 자율신경의 분포가 많아 스트레스에 그대로 노출되는 천층 근육이며, 육체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정서적인 긴장의 영향을 받는다. 근육의 긴장(Tension of the Muscle)과 특히 승모근의 상부(Superior Part)는 교통사고로 인해 목이 손상됐을 경우나 혈종을 초래할 정도로 심하게 목이 긴장(Strain)되었을 때 문제가 생긴다. 흔히 통증의 악순환을 초래하는 얇고 편평한 근육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어원: 승모근은 ■■Trapezii ■■이라는 라틴어에서 파생이 되었고, 그 의미는 ■■Diamond■■형을 말한다.  그러나 우리가 생각하는 승모근의 의미는 승무 춤을 출 때 쓰는 박사고깔의 모양을 보고 그 의미를 사용한 것으로 추정한다. 서로 근육의 섬유방향이 달라 상부(upper), 중부(middle), 하부(Lower)로 나눈다.

기시(Origin): 후두골, 위 목덜미선(Superior Nuchal line)의 후두융기(External Occipital Protuperance)와 목덜미인대(Nucahal ligament)를 거쳐 제12번 흉추의 극돌기까지의 정중선에 기시된다.

 

정지(iNSERTION): 쇄골의 1/3지점의 외측인 앞쪽과 견봉의 그림) 승모근 외측, 견갑골의 극의 1/2지점에 정지된다.


작용(Action): 견갑골의 상승과 내림 또는 목을 뒤로 젖히는 작용을 한다.


신경지배: 말초신경인 뇌신경(Cranial nerve)의 11번째인 부신경(Accessory)의 지배를 받 는데 문제가 발생하면 고개 조차 들지 못하게 된다.
또한 경추 2번, 5번 신경의 재배를 받아 감각섬유에 영향을 미쳐 어깨에 닭살이 일어날 수가 있다.

 

승모근의 근육 찾기

 

승모근의 상부 외측부(Superial Lateral part)를 엄지손가락과 넷째 손가락 사이로 부드럽게 쓸어내리듯이 붙잡고 이 근육의 기시(Origin)인 후두골(Occipital)부위에서부터 쇄골과 견봉 위에서 끝나는 정지(Insertion) 부분까지 만져본다. 승모근은 삼각근의 정지인 쇄골, 견봉, 견갑골극 (Spine of Scapula)에 함께 겹쳐져 이 지점에서는 이 두 근육 사이의 위치를 구별할 수 없다. 승모근의 정지점 부위이면서 삼각근의 기시점 부위인 견갑골극 상부(Superior)를 따라 만져보면서 이들 두 근육의 압통(Pressure Pain)의 여부나 근육의 크기 차이, 또는 근육의 경직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증상:

1. 상부승모근(Upper trapezius) :
옷걸이(Coat hanger) 모양의 근육으로 근육의 섬유 방향이 수직으로 되어있다.
TrP와 근육의 긴장이 가장 잘 생기는 근육으로, 목덜미와 뒷골이 뻐근하고 어깨 죽지가 무지근하다고 호소한다. 하지의 길이(Lower length)가 달라져 골격의 변화가 생기고 양팔의 길이가 달라진다. 또한 균형 장애(dysequilibrim)에 의한 어지러움(Dizzness)이 생긴다. 이러한 증상은 주로 전화를 받는 직업군이 팔꿈치 보호대 없이 장시간 반복적으로 전화를 받거나 타이핑을 할 때 컴퓨터의 위치가 지나치게 높거나 팔 지지대가 없는 곳에서 장시간 일을 할 때 위에 설명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렇게 되면 근육의 스트레스가 가중되고 양쪽의 어깨가 상승하며 견갑골이 상승되어 어깨 한쪽이 기울어지는 증상이 악화된다. 더욱이 중요한 문제는 교통사고 시 목이 지나치게 과신전이 되는 편타 증후군(Whiplash)에 의해 악화된다는 것이다. 생활 속에서 어깨를 만성적인 악화시키는 요인중에는 여성의 경우 브래지어의 등쪽 끈이 근육을 지속적으로 압박하거나 자신의 몸보다 지나치게 크고 무거운 겨울 코트를 장시간 착용했을 때 일어난다.

 

2. 중부 승모근(Middle trapezius) :
상부의 증상에 의해 악화된다. 거의 수평의 근육섬유가 경추 6-흉추 3번의 척추 인대와 극돌기에서 출발하여 바깥쪽 안쪽에 견봉과 견갑극의 상부면에 정지되는 근육이다.

3. 하부 승모근(Lower trapezius) :
내측 극돌기와 흉추 4 흉추 12번의 척추에서 시작해 사선 방향의 근육 섬유가 바깥쪽으로 가서 견갑골 상단 안쪽의 결절에서 정지된다. 견갑거근의 저어지점과 일치한다.

 

 

 

 

검사: 고객 스스로가 고개를 좌나 우 쪽으로 회전(돌렸을) 했을 때 고개가 돌아간 쪽의 반대쪽 목에 통증이 일어나는지, 일어난 통증이 어떠한 형태인지를 파악한다. 또한 움직임이 자연스럽게 원활하게 돌아가는지를 파악한다.
외측굴곡(귀가 견봉에 닿게 한다)을 했을 때 반대쪽 목의 움직임이 어떠한지를 파악한다.

외측회전과 굴곡을 할 때 고객의 반대쪽 어깨의 움직임이 어떠한지를 주목한다. 만성두통이 있는 고객의 경우는 이러한 동작 시 반대편 어깨의 움직임이 과장스러워진다.

 

 

 

 

글_남태열 (알롱제엠아카데미 부원장, 국제스웨디시협회장, 공주영상정보대학 겸임교수)

출처 : 온 세상이 내 손안에~
글쓴이 : handlife 원글보기
메모 :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나라 토종약초 모음집  (0) 2006.10.21
[스크랩] 인체해부도  (0) 2006.10.14
[스크랩] 경락의 신비  (0) 2006.09.07
[스크랩] 경락의 신비 2  (0) 2006.09.07
[스크랩] 경락의 신비 3  (0) 2006.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