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염분과 혈압

맑은 계곡 2009. 6. 19. 13:19

짜게 먹으면 왜 혈압이 높아질까-

혈중나트륨 농도가 높아지면 몸에서 이를 낮추려고 한다.

혈관속 수분양이 증가하면 혈관벽이 받는 압력도 높아진다.

한편 세포속에서는 물이 빠져나간만큼 보충해 달라고 뇌에 신호를 보낸다.

짜게 먹으면 물을 자꾸 들이키는것도 이때문.

  혈중나트륨 농도를 낮추려는 시도는 콩팥에서도 일어난다.

콩팥은 혈액을 걸러 물을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하지만,

혈중나트륨농도가 높아지면 소변으로 내보내야할 물을 몸안으로 되돌리라는 신호를 받고 소변을 억제한다.

이호르몬을  '항이뇨호르몬 ' 이라한다

콩팥에서는 최대한 물을 재 흡수하며 소변량을 줄인다..

이처럼 재흡수된 물도  혈관으로 들어가 나트륨농도를 낮추는데 쓰인다.

혈관이 물로 가득차면서 혈관벽이 받는 압력은 점점 더 높아진다.

 혈관속 압력이 높아지면 심장은 온몸에 혈액을 보내기 위해 더강한 힘으로 혈액을 뿜어 줘야 한다.

심장의 펌프압력이 높아지는 것이다.

  그밖에 소금이 혈압을 높일뿐아니라 동맥경화를 일으키는것은 물론 혈전까지생기게 한다는 연구결과도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뇌하수체 호르몬이 하는 일  (0) 2010.06.03
[스크랩] 위벽이 두꺼워져도 <우울증>이 온다  (0) 2009.08.09
요가  (0) 2009.05.05
잡동사니 건강상식  (0) 2009.05.05
기면증  (0) 2009.05.05